Surprise Me!

[세계를 보다]1년 소비량 1200억인 분…세계인 입맛 홀린 라면

2023-11-26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어느 나라 어떤 식탁에서 만나도 낯설지 않은 음식, 바로 라면입니다.<br> <br>전세계에서 한 해 동안 소비되는 라면, 1,200억인 분이 넘습니다.<br> <br>라면이 이렇게 글로벌 푸드로 도약한 배경엔 한류의 영향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.<br> <br>세계를 보다, 김재혁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말레이시아 야시장에서 명물이 된 '라면 오믈렛' <br> <br>우리 매운 라면 제품에 달걀과 소시지, 치즈까지 곁들여 든든한 한 끼가 됐습니다. <br><br>자신 만의 라면 요리법이라며 소개하는 어린이 요리사의 표정에는 자신감이 넘쳐흐릅니다. <br> <br>닭고기와 각종 양념을 넣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이 라면을 안에 넣지 마세요. 왜냐하면 아직 시간이 안 됐으니까." <br> <br>단순히 라면 제품을 끓여 먹는 게 아니라 지구촌 곳곳에서 각자 취향에 맞춘 조리법으로 새 요리를 개발하는 겁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다 됐습니다. 이제 나의 역작을 먹어볼 겁니다. 이거 보세요" <br><br> 지난해 50개국 이상에서 소비한 인스턴트 라면은 무려 1212억인 분. <br> <br>3억 명 이상의 하루 끼니가 라면인 셈입니다. <br> <br> 중국과 인도네시아, 우리나라 등 아시아가 주요 소비국이지만 미국과 브라질도 10위 권에 이름을 올렸습니다.<br> <br>라면 자체는 중국에서 유래했지만 인스턴트 라면은 지난 1958년 일본의 '치킨 라면'에서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 / 닛신 치킨라멘 광고] <br>"치킨라멘이 여기에 왔어~" <br> <br>식량난을 겪던 우리나라는 1963년 일본 제품을 참고해서 인스턴트 라면을 출시했습니다. <br> <br>닭고기 대신 소고기 육수, 그리고 매운 맛을 넣으면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 잡았고 올해 수출액 1조 원도 처음 돌파했습니다. <br><br> 세계라면협회는 각국의 취향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<br> <br> 우리나라에선 소고기나 해물 육수를 기본으로 매운 맛이 인기입니다. <br> <br> 중국 라면은 자체 오향 분말을 넣은 독창적인 맛이 특징이고 채식 육수에 커리맛 라면을 좋아하는 인도에선 국물을 최소한으로 합니다. <br> <br>브라질은 아예 국물이 없는 볶음면을 선호합니다. <br> <br> 국가마다 선호하는 형태도 다릅니다. <br> <br> 간식으로 취급되는 필리핀에선 작은 컵라면을, 나이지리아는 양이 많은 제품을, 미국은 간편 제품을 선호합니다.<br> <br>라면이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된 이유로 크게 3가지가 꼽힙니다. <br> <br> 팬데믹 기간 라면 같은 간편식 수요가 증가했고 K 콘텐츠의 인기로 라면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킨 겁니다. <br> <br>실제 영화 기생충 속 '짜파구리'는 큰 화제가 됐고 BTS 멤버들이 라면을 즐기는 모습은 팬들 사이에서 하나의 '챌린지', 유행이 됐습니다. <br> <br>경기 불황도 라면 열풍에 한 몫 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. <br><br>영국 가디언은 "생활비 위기가 수요를 부채질 하고 있다"며 "국수를 먹지 않던 나라의 중산층들도 생활비를 아끼려 먹기 시작하면서 소비량이 증가했다"고 보도했습니다.<br> <br>[이은희 /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] <br>"전세계적으로 경기가 불황인 것이 하나의 큰 원인이다 이렇게 볼 수가 있겠는데요. 라면이 한 끼 식사 대용으로 유리한 측면 이런 것들이 원인이 되겠습니다." <br> <br>국내 출시 60년을 맞이한 인스턴트 라면이 이젠 세계인의 소울 푸드로 거듭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 김재혁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장세례<br /><br /><br />김재혁 기자 winkj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